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빅데이터분석기사 제9회 실기
    기타 2024. 12. 18. 18:42

    📅 시험 일정 및 준비 기간

    당초에는 6월 22일에 실기 시험을 보려고 했으나, 시험 신청을 깜빡했다. (왜 시험 신청 기간이 3일밖에 되지 않는가....)

    이에 따라, 9회 실기 시험을 보게 되었다.

     

    시험 일자: 24/11/30

    준비 시작일: 24/06/11

    총 공부 기간: 약 2주(1주 + 1주)

     

    📖 공부 방법

    8회 실기 시험 대비 공부 기간(1주)과 9회 실기 시험 대비 공부 기간(1주)으로 나뉜다.

     

    8회 대비 기간 (6월 11~14일)

    교재: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 기본서 (이기자)

    공부 방법:

    교재에 나와 있는 내용을 따라 치며 정리했다. (https://github.com/Minwoo0206/Engineer_BDA)

    기출 문제를 풀려다가 시험 신청을 깜빡했다는 사실을 깨닫고는 시험 공부를 중단했다.

     

    9회 대비 기간 (11월 25~29일)

    교재에 나와 있는 실기 기출 6회를 풀고, 인터넷에서 실기 기출 8회를 찾아 풀었다. 

    8회 대비 기간에 배우지 못했던, 즉 교재에서 설명하지 않는 내용은 다시 공부했다. 

    첫 번째가 오즈비 변화량 계산이었고, 두 번째가 statsmodels 라이브러리였다.

    오즈비는 수학 계산식을 보고 금방 이해했고, statsmodels는 가끔씩 써왔던 라이브러리여서 시험에 나오는 함수만 다시 공부했다.

     

    📝 시험 당일

    시험장 도착 시간: 9시 50분 경에 도착했다.

     

    시험 환경:

    테스트 환경에서 명령어 실행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구름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채로 시험을 시작하게 되었다.

    시험을 시작하고 5분 정도 지나서 시험 환경이 정상화되었고, 이에 대한 보상으로 시험 시간이 10분 연장되었다.

    평소에 맥북을 사용하는데, 오랜만에 윈도우 OS를 사용하려니 매우 불편했다.

    게다가, VSCode에서 늘 사용하던 자동완성 기능도 없어 오타가 계속해서 발생했다.

    간단한 검색도 할 수 없어서, 함수명이 생각나지 않으면 help나 dir로 찾아봐야 했다.

    그런데, 터미널에서 확인할 수 있는 출력값에 제한이 있어 이마저도 어려운 경우가 발생했다.

    결국, 처음에는 2시간 안에 끝낼 것을 예상했었는데, 2시간 30분이나 시험을 치게 되었다. (점심 약속 지각했다)

     

    시험 난이도:

    제 1유형 - 상

    기출 6회, 8회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간 문제들이었다. 기출과 달리 난이도가 높아서 꽤나 당황했다.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판다스 함수를 찾지 못해, 하드 코딩해서 푼 문제도 있다.

    (전날, VSCode에서는 정상적으로 작동한 코드가 Groom 환경에서는 작동하지 않기도 했다.)

     

    제 2유형 - 하

    별 생각 없이 관성적으로 풀 수 있었다.

     

    제 3유형 - 중

    조금씩 생각이 필요하긴 했지만 어렵지는 않았다.

     

    시험을 친지 2주가 지나서 문제가 잘 생각나지 않는데, 나중에 9회 문제가 복원되면 풀이방법도 올려 보겠다.

     

    📊 결과 및 점수

    12월 13일에 사전점수가 공개되었다. 제 1유형에서 감점당할 수도 있다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잘 나왔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간정리  (0) 2024.12.03
    Granular Corneal Dystrophy Type 2  (0) 2024.07.17
    30 Days of Streamlit  (0) 2024.05.13
    NOISE  (0) 2023.11.07
    TCI  (0) 2023.06.13

    댓글

Designed by Tistory.